기타게임 파이썬 기초 강의#2
컨텐츠 정보
- 25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작성자: 작성자 없음
변수(Variables)란 무엇인가?
> 프로그램에서 기억공간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 프로그래머가 붙여준 이름이 있는 기억공간 • 하드웨어의 메모리를 할당 받아 사용 • 값을 기억하고 있다 • 2 는 정수형, 3.14159 는 실수형 값
• “Hello, World!” 은 문자열 • 다양한 데이터 형을 표현할 수 있다
언제 변수를 활용하는가?
• 뭔가 기억 시켜 놓을 만한 요인이 생겼을 때 • 몇 번 실행 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ount 필요할 때 •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값을 저장해 놓고 싶을 때
• 일정한 간격으로 숫자를 출력하려고 하는데, 그 간격 을 기억해 놓아야 할 때 • 특정한 조건을 지정하여 저장 할 때 • 반복문을 사용하는데 반복 횟수를 저장해야 할 때
변수명(Variable Name)
> 문자와 숫자등을 저장하는 공간
> 변수명은 문자로 시작되어야 한다
• 사용 가능한 변수명 : myname, name, age, height • price_of_tea, student_no, idenfication_code, 나이, 이름, 소속기관, 한글 변수명도 변수명으로 사용 가능
• 사용 불가능한 변수명 : 100_name, class, break, False
• 다음의 이름들은 예약된 단어로 파이썬 문법에서 사 용하기 때문에 • 변수명으로 사용될 수 없다
변수사용 예시(1)
>>> fred = 100
>>> print(fred)
100
>>> print(‘fred’)
fred
>>> fred = 200
>>> print(fred)
200
변수사용 예시(2)
>>> message = “John”
>>> print(message)
John
>>> print(“Hello!”, “John”)
Hello, John
>>> score = 78
>>> print(message , score)
John 78
>>> print(“message” , “score”)
message score
>>> print( “abba” * 3)
abbaabbaabba
변수의 데이터 형(DataType)
정수형(int) : 양의정수, 0, 음의정수
• 값 • –3, –2, –1, 0, 1, 2, 3, 4, 5, …
• 정수 리터럴(literal)은 다음과 같음: 1, 45, 43028030
• 쉼표(자릿수 표현)나 마침표(소수점 표현)가 없음 • 연산자
• +, –, *, /, //,**, 단항 연산자 – • 원칙 • int 값에 대한 연산식 결과는 int이다
예시)
>>> price = 125
>>> price * 4 500
>>> price = price + 25
>>> print(price)
150
>>> print(price * 10)
1500
>>> print(price) 150
실수형(float) : 실수로 나타나는 수, -5.1234
• 값 • 실수 (근사치) • 파이썬에서는 “.”을 포함한 숫자를 실수형으로 취급
• 소수점 사용하지 않은 숫자는 정수형으로 취급
• 연산자 • +, –, *, /, **, 단항연산자 –
• 실수형(float)와 정수형(int)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음
• 1.0/2.0 의 결과는 0.5
예시)
>>> price = 30.5
>>> price * 4
>>> print(price)
122.0
>>> price = price + 20
>>> print(price)
50.5
>>> print(price * 10)
505.0
>>> print(price)
50.5
문자열형(string) : 텍스트로 표시하는 글자모음, "대한민국"
• 따옴표 안의 문자열의 나열 • 이중 따옴표: “Hello World!” • 따옴표: ‘Hello World!’
• 연산자: + • 연결(Concatenation)은 문자열에 대해서만 적용 • “ab” + “cd”의 결과는 “abcd”
• 문자열(String)은 인덱스화됨(Indexed)
• s = ‘abcd’
• s[0]은 ‘a’, s[2]은 ‘c’
• s1 = s[0] + s[3]
• S1에는 ‘ad’ 가 기억된다
• 부분 문자열 추출 가능
• s[1:] ‘bcd’
• s[:2] ‘ab’
• s[:3] ‘abc’
• s[1:3] ‘bc’
예시)
>>> s1 = ‘The Brave’
>>> s1
‘The Brave’
>>> s2 = ‘The Beauty’
>>> s3 = s1 + ‘gets’ + s2
>>> s3
‘The Brave gets The Beauty’
>>> s3[4 : 9]
‘Brave’
부울형(boolean) : True, False로만 표현 가능
리스트형(list) : 여러 개의 데이터 들을 모은 것, [ 1,2,3,4,5 ] [‘apple’, ‘banana’, ‘citrus’, ‘lime’ ] [‘kim’, 1, 10, ‘park’, 5.123]
요약
변수의 개념 이해
• 변수는 언제 활용하는가?
• 뭔가 기억 시켜 놓을 만한 요인이 생겼을 때
• 변수의 데이터형 : 정수형,실수형,문자형,부울형,리스트형
-
등록일 00:20
-
등록일 08.20
-
등록일 08.10VMware 네트워크 IP 설정댓글 2
-
등록일 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