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게임 학습용 치트엔진 우회법 (1)
컨텐츠 정보
- 14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작성자: 작성자 없음
목적
온라인 게임에서 치트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게임가드 등을 우회하여 뚫기위함.
학습목적이며 실제 사용시 안될 확률이 매우 높음.
준비물
1. 치트엔진 6.4src http://cheatengine.org/download/CheatEngine64src.rar
2. 라자루스 http://www.lazarus.freepascal.org/index.php?page=downloads
3. asr http://gusqls9901.tnaru.com/files/mc/board/0/220/actualsr_lbr_1_rbr_.zip
4. windows driver kit http://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MFS_104443
5. 아크로 에디터 http://www.acrosoft.pe.kr/board/63446
주의사항
driver kit 설치시 전부 체크후 설치할 것
1. 6.4src를 c드라이브에 압축해제후 DBKKernel 풀더안의 ce.bet을 오른쪽 클릭후 아크로에디터로 열기
2.copy .\obj%BUILD_ALT_DIR%\i386\지정하고픈 엔진의 이름 5글자.sys "..\Cheat Engine\bin\지정하고픈 엔진의 이름 5글자.sys" goto successend: x86success:
copy .\obj%BUILD_ALT_DIR%\amd64\지정하고픈 엔진의 이름 5글자.sys "..\Cheat Engine\bin\지정하고픈 엔진의 이름 5글자.sys" goto successend
굵게 처리된 부분을 수정해야하며 영어와 숫자로만 엔진의 이름을 정해야함. 수정후 꼭 좌상당의 저장을 누를것.
ex) obj%BUILD_ALT_DIR%\i386\star1.sys"
3. 저장을 완료한 후 다시 DbkKernel 풀더의 sources.ce를 열어 targetname에 앞서 ce.bet에 수정했던 엔진의 이름을 입력후 저장
ex) targetname=star1
4. windows driver kit에 Checked Build Environment을 열게되면 명령프롬포트창이 열림. (32비트용 x86, 64비트용 x64)
프롬포트창에 cd c:\CheatEngine64src\DBKKernel 을 입력해준다. (이는 자신이 소스파일을 설치한 경로를 설정해 주어야하며 앞의 예제는 c드라이브에 압축을 풀었을시 기본경로임.)
입력후 다시 ce를 입력.
"1개의 파일이 복사되었습니다." 라는 말이 나와야 정상적으로 성공. 만약 실패시 처음부터 다시 시도할것.
5. cheatengine64src풀더안의 bin풀더를 열게되면 새롭게 복사한 sys파일이 생성되어 있어야함.
ex) ...\bin\star1.sys
6. 다시 src풀더로 돌아가 cheatengine.lpi를 실행. 뭔가 복잡한 창이 뜨지만 우리와는 별 관계없음.
상단 툴바에 project->project inspector 실행.
검색창에 main을 검색후 mainunit2.pas를 더블클릭
7. resoursestring부분의 ceneme='엔진의 이름' 부분을 입맛에 맞게 변경후 컴파일 진행 (단축키 F8)
ex) ceneme='스타엔진'
8. 다시 DBKKernnel풀더로 돌아가 IOPLDispatcher.c 파일을 아크로에디터로 열기
많은 단어들이 나오는데 우리가 수정해야할 부분을 검색(ctrl+f)하여 찾아줌
우리가 수정해야하는 부분은 ReadProcessMemory, WriteProcessMemory, GetMemoryRegionData 임.
검색하게되면 ntStatus=ReadProcessMemory( (DWORD)pinp->processid-0x0000,null, (PVOID)pinp 어쩌고 나올텐데
빨간부분을 수정해야함. 자신이 원하는 우회값을 숫자로 입력 단, IOPLDispatcher.c를 수정할땐 반드시 -를 붙여야함.
ex) processid-0x5480
3개(ReadProcessMemory, WriteProcessMemory, GetMemoryRegionData)를 검색하여 모두 같은값으로 수정해야함.
9. 다시 6번과 같이 치트엔진을 열어주고 마찬가지로 상단 툴바의 project->project inspector를 실행. 검색창에 dbk를 검색하고 dbk32\DBK32functions.pas를 더블클릭후
검색기능으로 input.ProcessID:=handlelist[i].processid 를 검색후 input.ProcessID:=handlelist[i].processid+0x0000의 빨간부분에 8번에서 설정한 우회값을 재입력
단, 8번에서는 반드시 '-'를 붙여야 했지만 여기서는 반드시 '+'를 붙여야함.
ex)input.ProcessID:=handlelist[i].processid+0x5480
10. 4번에서 컴파일했던 것 처럼 드라이버킷을 다시 열어 마지막으로 컴파일해주게되면 완성.
주의사항 : 이는 단순히 우회형 프로세스아이디를 바꾸어주는 가장 기초적인 우회법임. 실제 사용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며 소스내의 단어를 캐치하여 잡아내는 핵쉴드의 경우 바로 걸릴 수 있음.
이를 해결하기위해서는 단어변경프로그램으로 모든 단어를 교체하여주어야함. 이를 포함한 추가적인 우회법은 2번째 강의에서 설명하겠음.
-
등록일 00:20
-
등록일 08.20
-
등록일 08.10VMware 네트워크 IP 설정댓글 2
-
등록일 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