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나라 CR 스크립트 함수 핵심 강의
컨텐츠 정보
- 21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작성자: 작성자 없음
자, 먼저 CR 구동기의 특성을 알아보아야지요.
(여기서는 스크립트 강의이므로 서버 구축법이나 설정 등은 제시해 주지 않습니다..)
대충 구동 파일들을 보시면 script라는 폴더가 보일겁니다. 그것에 들어가시면 메모장들이 있죠..
저런 파일 보이시죠? Script에 들어가서.. 마법 하나를 열어봅시다.
자, 이제 여러분은 이상한 단어를 볼 것입니다. 분명 영어인데..
저것이 바로 스크립트이며, 이쪽의 고수분들이 여러분께 (일부러 못알아듣게 하려고) 어렵게 설명하는
'구문'이니 '변수'니 '함수'니 '인자'니 '배열'이니 하는 것들의 총 집합체입니다.
저는 저런 단어 그다지 안좋아합니다. 그런데 어쩌겠어요. 해야되는데.. 그리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깐 잘 따라와주세요.
보통 저런 스크립트는 하나의 구문들이 조합된 형식으로 나타납니다. 그것은 쉼표( , )로 구분되어 진행되죠.
하나의 예를 들어봅시다.
저 줄 중 첫번째인
set @id, myid();
이게 무엇인지 아직은 감이 안 올것입니다.
저것을 해석을 현재로서 해본다면, @id라는 임시변수를 myid()라는 값으로 set(선언)한다. 라는 뜻이 되겠네요.
아직은 모르셔도 됩니다. 천천히 배울것이니깐요.
오늘은 저런 언어가 있고, 이러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까지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자, 그럼 아까의 구문을 다시 확인해 봅시다.
set @id, myid();
이것을 다시 세부적으로 나눈다면
set
@id
myid()
이렇게 나눌 수 있겠습니다.
이 세 개의 단어를 앞으로는 이렇게 이해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set이 써있는 곳은 명령입니다. ~ 해라! 하는 것이죠. set의 경우는 여기서는 설정해라! 하는 명령이 되겠습니다.
@id가 써있는 곳은 저장 공간입니다. [여기에] 라는 것과 비슷합니다.
비유를 한다면 서랍장과 같습니다. 이름이 @id라는 서랍장인것이죠. 이 서랍장은 3개의 종류가 존재합니다.
하나는 @라는 서랍장, 하나는 $라는 서랍장, 마지막하나는 #이라는 서랍장이 그것입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추후에 공부해 봅시다.
myid()가 써있는 곳은 데이터입니다. [이것을] 이라는 것으로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지금으로서는 myid()라는 뜻을 굳이 배울 필요는 없으니, 대신에 '1'이라는 말로 대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자세히 보시면 끄트머리에 ' ; ' 라는 (세미콜론)것이 보일것인데, 이것은 우리 한글의 마침표( . )와 같습니다. 이것이 없으면 인식을 못해요..
자, 그럼 돌아와서
set @id, 1;
이라는 하나의 구문, 즉 문장이 있습니다. 이것을 해석해 봅시다.
set (설정해라!) @id (이런 이름의 저장소에) 1 (1이라는 데이터로!)
그럼 결과적으로 @id라는 서랍장은 1이라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있는 것입니다.
어때요, 이해가 잘 됐나요?
이것이 조금 복잡하게 이루어진다면,
set @id, 1+2+3;
이런식으로서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당연히 @id에 저장되있는 값은 '6'이 되겠습니다. 1+2+3이기 때문이지요.
스크립트의 문장은 이런식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문장과 거의 비슷한 것이죠.
이것이 발전하면 '만약...' 이라는 말도 스크립트로 구현이 가능하며,
' ~만큼 반복해라' 하는 명령도 가능합니다.
이번의 강의에서는 저정도의 스크립트 구문 구조만 알아도 대단히 성공하신 겁니다.
그러면 당신이 잘 이해했는지에 관해서 문제를 내보도록 하겠습니다.
꼭 풀어보시고, 이 구조를 이해해보셔야 하겠습니다.
문제, @result에 저장된 값은 얼마입니까?
set @a, 3+1;
set @b, 6;
set @result, @a+@b+5;
-
등록일 00:20
-
등록일 08.20
-
등록일 08.10VMware 네트워크 IP 설정댓글 2
-
등록일 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