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나라 배치파일(CMD)을 이용해 유동아이피를 원클릭으로 등록해보자 - 2
컨텐츠 정보
- 14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작성자: 작성자 없음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에는 배치파일안의 내용을 설정 하는법에 대해 언급하겠습니다.
일단, 전체적인 내용을 보여드리겠습니다.
@echo off
ipconfig | find "IPv4" >ipconfig.txt
for /f "tokens=13 delims= " %%i in (ipconfig.txt) do (
echo %%i
set uIP=%%i
)
copy nulconf\login-server.conf
echo.;기본설정>>conf\login-server.conf
echo.bind_ip: 0.0.0.0>>conf\login-server.conf
echo.login_ip: %uIP%>>conf\login-server.conf
echo.login_port: @포트>>conf\login-server.conf
echo.;인터서버 설정>>conf\login-server.conf
echo.inter_ip: 127.0.0.1>>conf\login-server.conf
echo.inter_port: 2501>>conf\login-server.conf
echo.
echo.longin-server.conf 생성완료
type conf\login-server.conf
copy nul conf\multiserver.conf
echo.;멀티서버리스트 설정파일>>conf\multiserver.conf
echo.multiserver:%uIP%:@포트,@서버명;@할말conf\multiserver.conf
type conf\multiserver.conf 생성완료
echo.
copy nul conf\world-server.conf
echo.;기본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bind_ip: 0.0.0.0>>conf\world-server.conf
echo.world_ip: %uIP%>>conf\world-server.conf
echo.world_port: 10100>>conf\world-server.conf
echo.;로그인서버 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login_ip: %uIP%>>conf\world-server.conf
echo.login_port: 2010>>conf\world-server.conf
echo.;인터서버 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inter_ip: 127.0.0.1>>conf\world-server.conf
echo.inter_port: 2501>>conf\world-server.conf
echo.;서버아이디 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server_id:1>>conf\world-server.conf
echo.;가상계 맵번호>>conf\world-server.conf
echo.virtualmap_id: 0>>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dong: 4090>>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silver: 4091>>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gold: 4092>>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dongs: 4093>>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silvers: 4094>>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golds: 4095>>conf\world-server.conf
echo.;서버 시스템 설정 (초단위)>>conf\world-server.conf
echo.소멸주기: 60>>conf\world-server.conf
echo.죽은자의온기: 3600>>conf\world-server.conf
del ipconfig.txt
-------------------------------------------------------------------------
자, 그럼 한문장씩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echo off
// 에코 메아리란 뜻인데요. CMD에선 반복문을 뜻합니다. 즉, 반복문을 꺼라는 말입니다.
ipconfig | find "IPv4" >ipconfig.txt
//ipconfig 많이들 쳐보셧죠? 네. 맞습니다.
//cmd에 ipconfig 를 검색한 부분에서 IPv4를 찾아 ipconfig.txt 파일로 보내란 뜻입니다.
//ipconfig.txt파일이 없으면 자동생성되니 나두셔도 됩니다.
for /f "tokens=13 delims= " %%i in (ipconfig.txt) do (
echo %%i
set uIP=%%i
)
//포문인데요. 자세히 설명드리려면 강의몇개를 더 써야하니 설명만드리겠습니다.
//위에따라 유저 IP를 %%i로 셋하고, ipconfig.txt파일 안에 %%i(유저아이피)를 적어라 라는 뜻이되겟네요.
copy nul conf\login-server.conf
//카피입니다. 즉,복사를 말하는데요.
//conf폴더 안에 login-server.conf를 생성해라는 뜻입니다.
//역슬래시는 화폐단위키 아시죠? 경로표시입니다. 메모장에는 화폐단위키로 고쳐서 적어주세요.
echo.;기본설정>>conf\login-server.conf
//echo.은 문자를 작성할 때 꼭 먼저 입력해줘야 됩니다.
//conf\login-server.conf파일 내에 ;기본설정이라는 문장을 넣어라는 뜻입니다.
echo.bind_ip: 0.0.0.0>>conf\login-server.conf
echo.login_ip: %uIP%>>conf\login-server.conf
//conf\login-server.conf파일내에 login_ip:%uIP%를 삽입하라는 뜻입니다.
//%uIP%는 위에 SET햇던 %%i를 말합니다.
//CR의 $변수를 생각하시면 되겟네요.
echo.login_port: @포트>>conf\login-server.conf
//포트는 각자 개인이 사용하는 포트로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echo.;인터서버 설정>>conf\login-server.conf
echo.inter_ip: 127.0.0.1>>conf\login-server.conf
echo.inter_port: 2501>>conf\login-server.conf
//이 부분은 건들지 않으셔도 됩니다.
echo.
echo.longin-server.conf 생성완료
type conf\login-server.conf
//신경 안쓰셔도 되는 부분이며,
//콘솔창에 longin-server.conf 생성완료 문구와 그의 내용을 띄워라는 말입니다.
copy nul conf\multiserver.conf
echo.;멀티서버리스트 설정파일>>conf\multiserver.conf
echo.multiserver:%uIP%:@포트,@서버명;@할말.>>conf\multiserver.conf
//이부분은 설정해 줍니다.
type conf\multiserver.conf 생성완료
echo.
copy nul conf\world-server.conf
echo.;기본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bind_ip: 0.0.0.0>>conf\world-server.conf
echo.world_ip: %uIP%>>conf\world-server.conf
echo.world_port: 10100>>conf\world-server.conf
echo.;로그인서버 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login_ip: %uIP%>>conf\world-server.conf
echo.login_port: 2010>>conf\world-server.conf
echo.;인터서버 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inter_ip: 127.0.0.1>>conf\world-server.conf
echo.inter_port: 2501>>conf\world-server.conf
echo.;서버아이디 설정>>conf\world-server.conf
echo.server_id:1>>conf\world-server.conf
echo.;가상계 맵번호>>conf\world-server.conf
echo.virtualmap_id: 0>>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dong: 4090>>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silver: 4091>>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gold: 4092>>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dongs: 4093>>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silvers: 4094>>conf\world-server.conf
echo.itemid_golds: 4095>>conf\world-server.conf
echo.;서버 시스템 설정 (초단위)>>conf\world-server.conf
echo.소멸주기: 60>>conf\world-server.conf
echo.죽은자의온기: 3600>>conf\world-server.conf
//쭉 내용을 보시고, 서버에 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del ipconfig.txt
//마지막으로, ipconfig 파일을 자동으로 지우게 됩니다.
이로써 IP자동등록 배치파일 생성과 설정법에 대해 설명 드렸습니다.
궁금한점이나, 자세한 부분은 댓글로 문의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등록일 00:20
-
등록일 08.20
-
등록일 08.10VMware 네트워크 IP 설정댓글 2
-
등록일 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