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강의
각종 노하우 분류

가상머신 서버 외부 접속 설정

컨텐츠 정보

본문

공유기와 연결된 노트북에서 가상머신을 사용하는데, 외부에서 이 가상머신의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방법을 정리하려 한다.

1. virtual box NAT
현재 사용하는 방식이다.

서버는 NAT로 설정하고 ip는 10.0.2.15로 고정되어 있다.

공유기 옵션에서 외부 포트 A를 내부 포트 B로 포워딩한다.

리눅스 서버는 호스트 포트 B → 게스트 포트 C(ssh: 22)로 규칙 하나를 추가한다. 게스트 ip는 리눅스 서버 ip로 설정한다.

그러면 외부에서 공인 아이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접속할 수 있다.

공인아이피:A -> host:B -> guest:C(22)
2. vmware Bridge
기존에 쓰던 방식인데 가끔 연결이 끊어져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설정은 간단하다.

서버를 Bridged로 설정하고 Replicate physical network 설정도 체크한다.

이때 서버에 고정 아이피 X를 할당한다.

서버에서 공유기 옵션 페이지로 들어가 포트를 A에서 X 아이피의 C(22)로 직접 포워딩한다.

그러면 외부에서 다음과 같이 접속할 수 있다.

공인아이피:A -> X:C(22)
3. vmware NAT
현재 사용하는 방식이다.

공유기 옵션에서 외부 포트 A를 내부 포트 B로 포워딩한다.

vmware →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 Nat Settings로 이동.

호스트 포트 B를 게스트 ip의 게스트 포트 C로 포워딩한다.

그러면 외부에서 다음과 같이 접속할 수 있다.

공인아이피:A -> host:B -> guest:C(22)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58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강의실

🏆 포인트 랭킹 TOP 10
순위 닉네임 포인트
1 no_profile 타키야겐지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509
2 no_profile 보거스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378
3 no_profile 검은고양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4,195
4 서번트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621
5 no_profile 불멸의행복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281
6 no_profile 동가리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4,964
7 no_profile 라프텔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661
8 no_profile Gatchaman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5,503
9 no_profile 닥터스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020
10 no_profile Revolution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199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