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W와우 분류
와우 1.8.0 프리 서버 구축 및 공유기 설정
컨텐츠 정보
- 155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와우 1.8.0 프리 서버 구축 및 공유기 설정
# 서버 설치 순서 요약
0. 클라이언트 설치: 와우클라이언트1.8 필요 다운그레이드 혹은 자료실 요구버전 다운
0. 서버주소변경 : realmlist.wtf 접속할 서버의 주소로 변경
1. 프리서버 설치: UWC repack혹은 WowEmu, project rage repack, Mara's repack, Burning chrome 중 택일.
2. 서버주소변경: emu.conf, wowemu.key (싱글플레이127.0.0.1 혹은 자신의 아이피주소)
3. 맵파일읽기:BatCreator.exe: yes
4. 서버실행:WowEmu.exe (계성생성 웹서버, 맵서버 등이 자동실행)
5. 계정생성:http://자신의아이피주소:8080 (보통계정생성화면이 떠야함. 싱글플레이시 127.0.0.1:8080, 멀티플레이 : 자신의 아이피주소:8080)
#클라이언트측 설치 순서
-월드오브워크래프트 클라이언트만 있으면 됨.
(단, 해당 프리 서버에서 요구하는 클라이언트 버전이어야함. 하나포스 등의 자료실에서 원하는 버전 다운가능. 다운그레이드 시 wow.exe 삭제 후 repair.exe 실행하연 1.0 초기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후 1.8버전 설치)
- 서버 주소 변경하기 : 기본으로 월본서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프리서버의 주소로 변경하기 위해 realmlist.wtf 파일을 편집해서 주소를 변경
# 와우 프리서버의 종류
UWC
WowEmu
BlackStorm
WAD
Raiden
프리서버는 와우 본서버의 해킹 소스 유출로 인해 프리서버의 근간이 이루어졌으며 그 소스를 바탕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있는 서버용 프로그램은 UWC, WoWEmu 입니다.
서버에 따라 설정방법이 조금씩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요구되는 클라이언트는 대부분 1.8 버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와우 클라이언트 설치하기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1.8 버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 시 서버에서 요구하는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1.8 버전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래 하나포스 등의 자료실에서 1.8버전 패치를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와우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버전만 일치하면 되므로 특별히 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 없이 realmish.wtf에서 접속할 서버의 주소만 바꾸어주면 됩니다.
단점은 서버가 와우1.9나 1.10 버전을 사용한다면 같이 버전을 일치 시켜야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1. 와우공식홈페이지에서 클라이언트 설치 후 자동패치가 되면 버전이 1.10 이후 버전입니다. 와우 실행 후 좌측아래 보면 버전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이미 1.8 이후 패치 되었다면 다운그레이드해야합니다.
설치된 와우 폴더에 wow.exe를 삭제 후 와우 복구프로그램인 repair.exe(와우설치된 폴더에 있음)를 실행하면 1.0 최초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됩니다. 이후 아래 1.8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1.8.0 패치받는곳
패치파일 : http://pds.hanafos.com/NPViewPds.asp?fileSeq=171909&rUrl=/NPListAll.asp
2. !!중요!! 접속할 서버 주소 바꾸어주기
1.8.0 패치하고 난 후 와우를 실행하여 본섭에 접속하면 또다시 패치가 진행되니 접속하지 마시고 와우 디렉토리에 있는 realmlist.wtf 을 메모장으로 연 후 아래 처럼 서버주소를 바꾸어줍니다.
set realmlist kr.logon.worldofwarcraft.com (원래 와우 본서버입니다.) 아래처럼 변경
예) set realmlist 127.0.0.1
(서버 만들고 싱글플레이만 할 때는 127.0.0.1 하고, 멀티플레이 할 때는 해당 서버의 주소를 넣어주면 되겠습니다.)
# 와우 서버 설치하기 : UWC 1.0.9.9c
각종 자료실이나 프루나, 해외개발 사이트 등에서 다운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UWC, WoWEmu 등으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겁니다. http://freewel.com/
1. 서버프로그램은 이 글의 답변글로 달린 "UWC 1.0.9.9c 을 이용한 구축방법"의 링크를 이용하시오.
(추가설명:압축을 원하는 곳에다 푸세요. 근데 와우를 C 드라이브에 설치하셨다면,
혹시 D드라이브도 가지계시다면 시디롬말고요 D 드라이브에 설치하시길 권합니다.
C드라이브 하나이시면 바탕화면에 압축푸셔도 좋구요.)
2. wowemu.key 파일을 마우스오른쪽버튼을 눌러 편집 고칠부분은 아래 두줄
server_name=원하는 서버이름 입력하세요 (예: server_name=DangNaRa Server)
ws_host=자신의 아이피 입력후 저장 (예: ws_host=127.0.0.1)
(추가설명:압축푼 폴더로 들어가서 메모장을 열어서 wowemu.key 파일을 불러옵니다.
아마 오른쪽마우스눌러서 편집이 안나올 사람도 있을테니 말이죠.
보통은 아이피에 혼자만 플레이할경우는 위에처럼 127.0.0.1 만 사용해도 괜찮으나
다른사람이 내 서버에 들어오게 만들고 싶다면 좀 복잡해집니다.
자신의 아이피를 정확히 알아야함은 물론이고 공유기를 사용하고 계신다면 공유기에 포트 몇개를
열어줘야합니다. 일딴 혼자만 하는 방법을 권유합니다.)
3. 압축을 풀고 안에보면 있는 map폴더로 들어가서 BatCreator.exe를
실행시킵니다. 가운데 있는 Locate the folder with wow.exe 를 누른다.
그러면 와우가 설치된 폴더로 정해주고,(기본적으로 c:\program files\world of warcraft\)
맨 처음에 있는 Create 버튼을 누른다. 창이 하나 뜨면 확인 누른다.
그다음 두번째 있는 Extract 버튼을 누른다. 그럼 와우 폴더에서 맵 파일들을 추출하기
시작한다. 중간 중간에 맵 추출창에서 질문을 하면 무조건 Y(yes)를 누른다.
4. wowemu.exe 파일을 실행하여 서버를 오픈
(추가설명:위파일을 실행하면 솔찍히 서버가 동작하는지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여러가지 설정 리스트가 주루룩하고 올라가는것이 보일겁니다. 조금 기다리시면 마지막에
2:11:46:M:HS:Socket opened TCP port 8080
2:11:46:M:RS:Socket opened TCP port 3724
2:11:46:M:WS:Socket opened TCP port 8085
2:11:46:M:HS:IO Completion Port initialized, acceptors=12 workers=4
2:11:46:M:RS:IO Completion Port initialized, acceptors=20 workers=10
2:11:46:M:WS:IO Completion Port initialized, acceptors=20 workers=10
이런 문구들이 나오면 제대로 서버작동이 된것입니다.
와우를 이미 설치하셨다면 와우설치부분은 넘어가도 좋은나 2번은 읽고 그대로 따라야합니다.)
# 계정 생성 하기
1. 서버을 읽는것이 끝나면 웹브라우저에 http://자신의아이피:8080 을 치면 계정 생성 페이지로 넘어감.
(위의 예 처럼 127.0.0.1 입력했다면 자신의 아이피에 127.0.0.1 이걸 넣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와우 계정등록하는 웹페이지가 뜨면서 만드실 ID 와 Password 를 넣으라고 나옵니다.
넣고 Create 누르면 계정생성 완료)
2. 와우를 실행하여 접속
(간혹 서버가 잘 돌아가는데 와우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할려고 하면 안되는 경우가 가끔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럴때는 몇번 다시 계속 아이디 비번 넣고 접속시도해 보십시요.
저도 가끔 무슨 이유인지 한번에 접속이 안되고 여러번 쳐야 접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GM 계정 생성
1. 서버구축 폴더안에 DButil.exe 를 실행 후 Exclusive Mode 클릭
2. Edit Accounts 클릭 후 Find 왼쪽 빈칸에 자신이 원하는 아이디를 입력 밑에 패스워드(비밀번호) 입력 secret 는 놔둔다.
일반유저는 plevel에 0 GM은 plevel에 7 써주고 난 후 Add/replace를 누르고 2~3초를 기다린후 Find를 클릭해서 00000000 이 나오면 GM계정생성 완료
# 공유기 설정법
아래 글은 각종정보란에 전창훈님이 올리신 글을 기초로 몇가지 추가해서 올립니다.
몇몇분이 처음 서버를 설정하시는데 헤메셔서 질문을 하시기에 올려봅니다.
처음 서버구축하시는데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인터넷 IP 주소 (예를들어 아래와 같다면...)
실제IP : 222.222.222.222 (외부에서 내 컴으로 접속할 때 사용)
가상IP : 192.168.0.2 (공유기에서 할당받은 와우서버를 운영할 PC의 가상IP)
1번. 여기서 말하는 리얼IP란?? 자기집으로 인터넷선이 들어오는데 반드시 각 선마다 특정한주소를 갖게됩니다.
그 형식은 위에서와 같이 211.152.44.55 또는 210.32.111.224 뭐 이런 식으로 KT나 하나로 파워콤등의 회사에서
할당해줍니다. 자신의 아이피가 무었인지 모르신다면 http://x-y.net/ip/ 이홈페이지 접속해보시면 나옵니다.
2번. 그럼 가상IP란?? 자기 집으로 인터넷선은 하나만 들어옵니다. 근데 컴퓨터가 두대면 어떻게 둘 다 인터넷을
할 수 있을까요? 없습니다.(사실있지만). 그래서 공유기라는 기계에 인터넷 선을 곶고 공유기보면에서 4개의 구멍이
더있는데 이 구멍1번에 컴퓨터를 연결하고 구멍2번에 또다른 컴퓨터를 연결하면 두대 모두 인터넷을 쓸수 있겠죠.
그래서 공유기라는 기계를 쓰신다면 포트(Port)라는 것을 열어 줘야 다른 사람이 내 컴퓨터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당신의 가상IP를 알고 싶다면 화면 왼쪽구석 "시작" 눌러서 "실행" 누르고 "cmd"
라고 칩니다. 그러면 텍스트 창이 하나 뜹니다. 거기에 "ipconfig" 라고 치면 무슨 글이 주루룩 하고 나옵니다.
거기에 "IP Address ..... 숫자.숫자.숫자.숫자" 이 숫자가 가상IP.
만약 당신이 공유기를 쓰지 않는다면 위에 1번글만 읽으시면 됩니다. 또한 아래 1.공유기설정도 넘어가세요
1. 공유기 설정.
- 공유기 보시면 일반적으로 NAT기능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일단 NAT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작동안함
상태라면 당연 작동하게 해야겠죠?
- NAT설정(대부분 대분류 메뉴로 존재함)에 보시면 포트포워드 라고 있습니다. 거기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합니다.
아래의 내용으로...
각각 3개의 포트를 따로따로 설정해야 합니다. 3724 ~ 8080 이런식으로 범위설정하시면 안됩니다. 분명 나중에
낭패 보십니다.
외부포트 : 3724, 8080, 8085
내부 PC IP 주소 : 192.168.0.2
내부포트 : 3724. 8080, 8085
여기서 공유기 설정하는데 어려운점은 공유기 회사별로 설정하는 방식이 모두 틀리다는 것입니다.
일단 메뉴의 위치도 틀릴뿐더러 다들 알아서 공유기설정하는 곳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것또한 회사별로 틀립니다.
예를들어 저는 Iptime 이란 회사의 공유기를 씁니다. 그래서 인터넷 창 열어서 주소쓰는곳에 192.168.0.1 이렇게
치면 공유기 설정하는 곳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어떤 회사는 192.168.1.1 이란 회사도 있고 192.168.10.1 이란
회사도 있는거 같고 아무튼 회사마다 틀립니다. 자신의 공유기 모델의 메뉴얼을 찾아서 잘 찾아보시길 바라며,
혹시 메뉴얼이 없다면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찾으시길........ 그정도의 수고는 하셔야죠.
일딴 공유기 설정하는곳으로 들어갔으면 메뉴중에 "가상서버설정"이란 부분이나 "포트포워딩"이란
것을 찾아보세요. 회사마다 이름이 틀리더군요. 아무튼 이런부분들이 있는 곳입니다.
1."이름"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없는 제품도 있습니다)
2."프로토콜" 이라고 "TCP" 와 "UDP" 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TCP" 만 이용합니다.)
2."외부포트"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3."PC주소"또는"내부 PC IP 주소"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4."내부포트"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자!!! 위와 같은 부분을 찾았다면 입력합시다.
이름:아무거나, 외부포트:3724, 내부PC IP주소:본인가상IP, 내부포트:3724 확인 또는 추가
이름:아무거나, 외부포트:8080, 내부PC IP주소:본인가상IP, 내부포트:8080 확인 또는 추가
이름:아무거나, 외부포트:8085, 내부PC IP주소:본인가상IP, 내부포트:8085 확인 또는 추가
이렇게 세가지 포트를 열어줘야합니다. 어떤분은 공유기설정을 완벽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에 서버에 다른사람들은 들어오지만 자신은 못들어가는 좀 황당한 경우도 있습니다. (넷탑이란 공유기 쓰시던 분)
즉 222.222.222.222 IP로 3724 번으로 접속을 시도하면 192.168.0.2 IP의 3724로 포트를 포워딩 해 준다는 것이죠.
여기까지 설정하셨으면 저장하시고 공유기 설정은 끝났습니다. 아! 그리고 IpTime 공유기는 포트포워드를 설정한 후에 바로 적용이 안되더군요.
공유기 껐다 켜야 바로 적용이 되더군요. (이상하군요!! 저도 아이피타임제품인데 저는 안꺼도 됩니다.)
와우서버 폴더에 보시면 wowemu.key 파일이 있죠? 물론 뭐하는 파일인지는 다들 아실 거에요.
[host]
keyver=4
user=orangevirus
copyright=Copyright (c) 2004,2005 by WoWEmu team
counter=http://wad.eclub.lv/wowemu/counter.php?ver=
server_name=wow free server <--------------자기가 원하는 서버이름
ws_host=222.222.222.222 <------자신의 리얼IP
ws_port=8085
hw=0AD1024D-AC98
key=TUJB6H-3YP44-GB663-83FZA-Q5F7Z-WZRGS-UBZSY
server_name= 이 항목에 한글로 쓰셨다면 wowemu.key 파일을 UTF-8 로 저장하셔야 서버목록에서 정상적으로
한글로 표시됩니다. 간단하게나마 다 아실만한 정보겠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 계실까하여 몇자 적었습니다.
늘 행복하세요^^
# ################################################################
덧붙여서 자 다른 사람이 나에게 접속할려면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당연 나의 리얼IP주소입니다.
내 주소를 알아야 편지가 가듯 리얼IP주소를 알아야 내 컴퓨터하고 연결할수있습니다.
그럼 상대방에게 나의 아이피를 알려주고 그사람보고 "야! 너의 컴퓨터에 와우깔린 폴더로 가서 거기보면
'realmlist.wtf'라는 파일이 있는데 메모장 열어서 그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set realmlist kr.logon.worldofwarcraft.com'라는 글이 있다. 그러니 거기서 'set realmlist'는
냅두고 kr.logon.worldofwarcraft.com 이거 지우고 내 아이피 (예) 222.222.222.222 이거 넣어라!
그럼 나한테 접속할수 있다."
이렇게 하시면 다른 사람(친구)이/가 내 와우서버로 접속할수 있습니다. 물론 상대방도 나와같은 버전의 와우여야
하겠죠. 1.8.0 서버면 상대방(친구)도 1.8.0 와우를 깔아야합니다. 1.9.x 버전을 쓰고 있다면 지워서 다시
깔아야겠죠. 1.8.0 으로......부디 성공하시길 바라며..
제가 설명 해드릴수 있는데까지 해드린것 같은데 이래도 못하신다면 본인이 하시는건 접으시고
친구나 주위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덧붙여 중요한 것은 자신의 리얼IP주소가 다이나믹아이피이면 또 커다란 벽에 부딧힙니다. 다이나믹아이피란
지금 나의 아이피는 이것인데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켜보니 나의 리얼IP주소가 다른것으로 바뀌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경우는 ADSL 이나 VDSL등 모뎀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데 확실히 VDSL은 모르겠고
ADSL 쓰시거나 케이블 방송사의 인터넷을 쓰시는 분들에게 나타납니다.
이런분들은 자신의 아이피가 바뀔적마다 상대방(친구)에게 "야!! 오늘 아이피는 이거다.. 컴퓨터 리부팅 되면..
지금은 이것다."라고 항상 알려줘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있는게 DDNS 서비스인데 이것은
개인적으로 알아보시면 될것입니다.
추가:윈도우xp서비스팩2를 사용하신다면 "시작" -> "제어판"->"windows방화벽" 에 들어가서 방화벽 사용안함을
선택후 확인하십시요.
# 서버 설치 순서 요약
0. 클라이언트 설치: 와우클라이언트1.8 필요 다운그레이드 혹은 자료실 요구버전 다운
0. 서버주소변경 : realmlist.wtf 접속할 서버의 주소로 변경
1. 프리서버 설치: UWC repack혹은 WowEmu, project rage repack, Mara's repack, Burning chrome 중 택일.
2. 서버주소변경: emu.conf, wowemu.key (싱글플레이127.0.0.1 혹은 자신의 아이피주소)
3. 맵파일읽기:BatCreator.exe: yes
4. 서버실행:WowEmu.exe (계성생성 웹서버, 맵서버 등이 자동실행)
5. 계정생성:http://자신의아이피주소:8080 (보통계정생성화면이 떠야함. 싱글플레이시 127.0.0.1:8080, 멀티플레이 : 자신의 아이피주소:8080)
#클라이언트측 설치 순서
-월드오브워크래프트 클라이언트만 있으면 됨.
(단, 해당 프리 서버에서 요구하는 클라이언트 버전이어야함. 하나포스 등의 자료실에서 원하는 버전 다운가능. 다운그레이드 시 wow.exe 삭제 후 repair.exe 실행하연 1.0 초기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후 1.8버전 설치)
- 서버 주소 변경하기 : 기본으로 월본서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프리서버의 주소로 변경하기 위해 realmlist.wtf 파일을 편집해서 주소를 변경
# 와우 프리서버의 종류
UWC
WowEmu
BlackStorm
WAD
Raiden
프리서버는 와우 본서버의 해킹 소스 유출로 인해 프리서버의 근간이 이루어졌으며 그 소스를 바탕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있는 서버용 프로그램은 UWC, WoWEmu 입니다.
서버에 따라 설정방법이 조금씩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요구되는 클라이언트는 대부분 1.8 버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와우 클라이언트 설치하기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1.8 버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 시 서버에서 요구하는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1.8 버전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래 하나포스 등의 자료실에서 1.8버전 패치를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와우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버전만 일치하면 되므로 특별히 따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 없이 realmish.wtf에서 접속할 서버의 주소만 바꾸어주면 됩니다.
단점은 서버가 와우1.9나 1.10 버전을 사용한다면 같이 버전을 일치 시켜야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1. 와우공식홈페이지에서 클라이언트 설치 후 자동패치가 되면 버전이 1.10 이후 버전입니다. 와우 실행 후 좌측아래 보면 버전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이미 1.8 이후 패치 되었다면 다운그레이드해야합니다.
설치된 와우 폴더에 wow.exe를 삭제 후 와우 복구프로그램인 repair.exe(와우설치된 폴더에 있음)를 실행하면 1.0 최초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됩니다. 이후 아래 1.8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1.8.0 패치받는곳
패치파일 : http://pds.hanafos.com/NPViewPds.asp?fileSeq=171909&rUrl=/NPListAll.asp
2. !!중요!! 접속할 서버 주소 바꾸어주기
1.8.0 패치하고 난 후 와우를 실행하여 본섭에 접속하면 또다시 패치가 진행되니 접속하지 마시고 와우 디렉토리에 있는 realmlist.wtf 을 메모장으로 연 후 아래 처럼 서버주소를 바꾸어줍니다.
set realmlist kr.logon.worldofwarcraft.com (원래 와우 본서버입니다.) 아래처럼 변경
예) set realmlist 127.0.0.1
(서버 만들고 싱글플레이만 할 때는 127.0.0.1 하고, 멀티플레이 할 때는 해당 서버의 주소를 넣어주면 되겠습니다.)
# 와우 서버 설치하기 : UWC 1.0.9.9c
각종 자료실이나 프루나, 해외개발 사이트 등에서 다운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UWC, WoWEmu 등으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겁니다. http://freewel.com/
1. 서버프로그램은 이 글의 답변글로 달린 "UWC 1.0.9.9c 을 이용한 구축방법"의 링크를 이용하시오.
(추가설명:압축을 원하는 곳에다 푸세요. 근데 와우를 C 드라이브에 설치하셨다면,
혹시 D드라이브도 가지계시다면 시디롬말고요 D 드라이브에 설치하시길 권합니다.
C드라이브 하나이시면 바탕화면에 압축푸셔도 좋구요.)
2. wowemu.key 파일을 마우스오른쪽버튼을 눌러 편집 고칠부분은 아래 두줄
server_name=원하는 서버이름 입력하세요 (예: server_name=DangNaRa Server)
ws_host=자신의 아이피 입력후 저장 (예: ws_host=127.0.0.1)
(추가설명:압축푼 폴더로 들어가서 메모장을 열어서 wowemu.key 파일을 불러옵니다.
아마 오른쪽마우스눌러서 편집이 안나올 사람도 있을테니 말이죠.
보통은 아이피에 혼자만 플레이할경우는 위에처럼 127.0.0.1 만 사용해도 괜찮으나
다른사람이 내 서버에 들어오게 만들고 싶다면 좀 복잡해집니다.
자신의 아이피를 정확히 알아야함은 물론이고 공유기를 사용하고 계신다면 공유기에 포트 몇개를
열어줘야합니다. 일딴 혼자만 하는 방법을 권유합니다.)
3. 압축을 풀고 안에보면 있는 map폴더로 들어가서 BatCreator.exe를
실행시킵니다. 가운데 있는 Locate the folder with wow.exe 를 누른다.
그러면 와우가 설치된 폴더로 정해주고,(기본적으로 c:\program files\world of warcraft\)
맨 처음에 있는 Create 버튼을 누른다. 창이 하나 뜨면 확인 누른다.
그다음 두번째 있는 Extract 버튼을 누른다. 그럼 와우 폴더에서 맵 파일들을 추출하기
시작한다. 중간 중간에 맵 추출창에서 질문을 하면 무조건 Y(yes)를 누른다.
4. wowemu.exe 파일을 실행하여 서버를 오픈
(추가설명:위파일을 실행하면 솔찍히 서버가 동작하는지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여러가지 설정 리스트가 주루룩하고 올라가는것이 보일겁니다. 조금 기다리시면 마지막에
2:11:46:M:HS:Socket opened TCP port 8080
2:11:46:M:RS:Socket opened TCP port 3724
2:11:46:M:WS:Socket opened TCP port 8085
2:11:46:M:HS:IO Completion Port initialized, acceptors=12 workers=4
2:11:46:M:RS:IO Completion Port initialized, acceptors=20 workers=10
2:11:46:M:WS:IO Completion Port initialized, acceptors=20 workers=10
이런 문구들이 나오면 제대로 서버작동이 된것입니다.
와우를 이미 설치하셨다면 와우설치부분은 넘어가도 좋은나 2번은 읽고 그대로 따라야합니다.)
# 계정 생성 하기
1. 서버을 읽는것이 끝나면 웹브라우저에 http://자신의아이피:8080 을 치면 계정 생성 페이지로 넘어감.
(위의 예 처럼 127.0.0.1 입력했다면 자신의 아이피에 127.0.0.1 이걸 넣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와우 계정등록하는 웹페이지가 뜨면서 만드실 ID 와 Password 를 넣으라고 나옵니다.
넣고 Create 누르면 계정생성 완료)
2. 와우를 실행하여 접속
(간혹 서버가 잘 돌아가는데 와우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할려고 하면 안되는 경우가 가끔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럴때는 몇번 다시 계속 아이디 비번 넣고 접속시도해 보십시요.
저도 가끔 무슨 이유인지 한번에 접속이 안되고 여러번 쳐야 접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GM 계정 생성
1. 서버구축 폴더안에 DButil.exe 를 실행 후 Exclusive Mode 클릭
2. Edit Accounts 클릭 후 Find 왼쪽 빈칸에 자신이 원하는 아이디를 입력 밑에 패스워드(비밀번호) 입력 secret 는 놔둔다.
일반유저는 plevel에 0 GM은 plevel에 7 써주고 난 후 Add/replace를 누르고 2~3초를 기다린후 Find를 클릭해서 00000000 이 나오면 GM계정생성 완료
# 공유기 설정법
아래 글은 각종정보란에 전창훈님이 올리신 글을 기초로 몇가지 추가해서 올립니다.
몇몇분이 처음 서버를 설정하시는데 헤메셔서 질문을 하시기에 올려봅니다.
처음 서버구축하시는데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인터넷 IP 주소 (예를들어 아래와 같다면...)
실제IP : 222.222.222.222 (외부에서 내 컴으로 접속할 때 사용)
가상IP : 192.168.0.2 (공유기에서 할당받은 와우서버를 운영할 PC의 가상IP)
1번. 여기서 말하는 리얼IP란?? 자기집으로 인터넷선이 들어오는데 반드시 각 선마다 특정한주소를 갖게됩니다.
그 형식은 위에서와 같이 211.152.44.55 또는 210.32.111.224 뭐 이런 식으로 KT나 하나로 파워콤등의 회사에서
할당해줍니다. 자신의 아이피가 무었인지 모르신다면 http://x-y.net/ip/ 이홈페이지 접속해보시면 나옵니다.
2번. 그럼 가상IP란?? 자기 집으로 인터넷선은 하나만 들어옵니다. 근데 컴퓨터가 두대면 어떻게 둘 다 인터넷을
할 수 있을까요? 없습니다.(사실있지만). 그래서 공유기라는 기계에 인터넷 선을 곶고 공유기보면에서 4개의 구멍이
더있는데 이 구멍1번에 컴퓨터를 연결하고 구멍2번에 또다른 컴퓨터를 연결하면 두대 모두 인터넷을 쓸수 있겠죠.
그래서 공유기라는 기계를 쓰신다면 포트(Port)라는 것을 열어 줘야 다른 사람이 내 컴퓨터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당신의 가상IP를 알고 싶다면 화면 왼쪽구석 "시작" 눌러서 "실행" 누르고 "cmd"
라고 칩니다. 그러면 텍스트 창이 하나 뜹니다. 거기에 "ipconfig" 라고 치면 무슨 글이 주루룩 하고 나옵니다.
거기에 "IP Address ..... 숫자.숫자.숫자.숫자" 이 숫자가 가상IP.
만약 당신이 공유기를 쓰지 않는다면 위에 1번글만 읽으시면 됩니다. 또한 아래 1.공유기설정도 넘어가세요
1. 공유기 설정.
- 공유기 보시면 일반적으로 NAT기능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일단 NAT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작동안함
상태라면 당연 작동하게 해야겠죠?
- NAT설정(대부분 대분류 메뉴로 존재함)에 보시면 포트포워드 라고 있습니다. 거기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합니다.
아래의 내용으로...
각각 3개의 포트를 따로따로 설정해야 합니다. 3724 ~ 8080 이런식으로 범위설정하시면 안됩니다. 분명 나중에
낭패 보십니다.
외부포트 : 3724, 8080, 8085
내부 PC IP 주소 : 192.168.0.2
내부포트 : 3724. 8080, 8085
여기서 공유기 설정하는데 어려운점은 공유기 회사별로 설정하는 방식이 모두 틀리다는 것입니다.
일단 메뉴의 위치도 틀릴뿐더러 다들 알아서 공유기설정하는 곳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것또한 회사별로 틀립니다.
예를들어 저는 Iptime 이란 회사의 공유기를 씁니다. 그래서 인터넷 창 열어서 주소쓰는곳에 192.168.0.1 이렇게
치면 공유기 설정하는 곳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어떤 회사는 192.168.1.1 이란 회사도 있고 192.168.10.1 이란
회사도 있는거 같고 아무튼 회사마다 틀립니다. 자신의 공유기 모델의 메뉴얼을 찾아서 잘 찾아보시길 바라며,
혹시 메뉴얼이 없다면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찾으시길........ 그정도의 수고는 하셔야죠.
일딴 공유기 설정하는곳으로 들어갔으면 메뉴중에 "가상서버설정"이란 부분이나 "포트포워딩"이란
것을 찾아보세요. 회사마다 이름이 틀리더군요. 아무튼 이런부분들이 있는 곳입니다.
1."이름"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없는 제품도 있습니다)
2."프로토콜" 이라고 "TCP" 와 "UDP" 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TCP" 만 이용합니다.)
2."외부포트"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3."PC주소"또는"내부 PC IP 주소"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4."내부포트"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자!!! 위와 같은 부분을 찾았다면 입력합시다.
이름:아무거나, 외부포트:3724, 내부PC IP주소:본인가상IP, 내부포트:3724 확인 또는 추가
이름:아무거나, 외부포트:8080, 내부PC IP주소:본인가상IP, 내부포트:8080 확인 또는 추가
이름:아무거나, 외부포트:8085, 내부PC IP주소:본인가상IP, 내부포트:8085 확인 또는 추가
이렇게 세가지 포트를 열어줘야합니다. 어떤분은 공유기설정을 완벽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에 서버에 다른사람들은 들어오지만 자신은 못들어가는 좀 황당한 경우도 있습니다. (넷탑이란 공유기 쓰시던 분)
즉 222.222.222.222 IP로 3724 번으로 접속을 시도하면 192.168.0.2 IP의 3724로 포트를 포워딩 해 준다는 것이죠.
여기까지 설정하셨으면 저장하시고 공유기 설정은 끝났습니다. 아! 그리고 IpTime 공유기는 포트포워드를 설정한 후에 바로 적용이 안되더군요.
공유기 껐다 켜야 바로 적용이 되더군요. (이상하군요!! 저도 아이피타임제품인데 저는 안꺼도 됩니다.)
와우서버 폴더에 보시면 wowemu.key 파일이 있죠? 물론 뭐하는 파일인지는 다들 아실 거에요.
[host]
keyver=4
user=orangevirus
copyright=Copyright (c) 2004,2005 by WoWEmu team
counter=http://wad.eclub.lv/wowemu/counter.php?ver=
server_name=wow free server <--------------자기가 원하는 서버이름
ws_host=222.222.222.222 <------자신의 리얼IP
ws_port=8085
hw=0AD1024D-AC98
key=TUJB6H-3YP44-GB663-83FZA-Q5F7Z-WZRGS-UBZSY
server_name= 이 항목에 한글로 쓰셨다면 wowemu.key 파일을 UTF-8 로 저장하셔야 서버목록에서 정상적으로
한글로 표시됩니다. 간단하게나마 다 아실만한 정보겠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 계실까하여 몇자 적었습니다.
늘 행복하세요^^
# ################################################################
덧붙여서 자 다른 사람이 나에게 접속할려면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당연 나의 리얼IP주소입니다.
내 주소를 알아야 편지가 가듯 리얼IP주소를 알아야 내 컴퓨터하고 연결할수있습니다.
그럼 상대방에게 나의 아이피를 알려주고 그사람보고 "야! 너의 컴퓨터에 와우깔린 폴더로 가서 거기보면
'realmlist.wtf'라는 파일이 있는데 메모장 열어서 그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set realmlist kr.logon.worldofwarcraft.com'라는 글이 있다. 그러니 거기서 'set realmlist'는
냅두고 kr.logon.worldofwarcraft.com 이거 지우고 내 아이피 (예) 222.222.222.222 이거 넣어라!
그럼 나한테 접속할수 있다."
이렇게 하시면 다른 사람(친구)이/가 내 와우서버로 접속할수 있습니다. 물론 상대방도 나와같은 버전의 와우여야
하겠죠. 1.8.0 서버면 상대방(친구)도 1.8.0 와우를 깔아야합니다. 1.9.x 버전을 쓰고 있다면 지워서 다시
깔아야겠죠. 1.8.0 으로......부디 성공하시길 바라며..
제가 설명 해드릴수 있는데까지 해드린것 같은데 이래도 못하신다면 본인이 하시는건 접으시고
친구나 주위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덧붙여 중요한 것은 자신의 리얼IP주소가 다이나믹아이피이면 또 커다란 벽에 부딧힙니다. 다이나믹아이피란
지금 나의 아이피는 이것인데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켜보니 나의 리얼IP주소가 다른것으로 바뀌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경우는 ADSL 이나 VDSL등 모뎀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데 확실히 VDSL은 모르겠고
ADSL 쓰시거나 케이블 방송사의 인터넷을 쓰시는 분들에게 나타납니다.
이런분들은 자신의 아이피가 바뀔적마다 상대방(친구)에게 "야!! 오늘 아이피는 이거다.. 컴퓨터 리부팅 되면..
지금은 이것다."라고 항상 알려줘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있는게 DDNS 서비스인데 이것은
개인적으로 알아보시면 될것입니다.
추가:윈도우xp서비스팩2를 사용하신다면 "시작" -> "제어판"->"windows방화벽" 에 들어가서 방화벽 사용안함을
선택후 확인하십시요.
-
등록일 10.09
-
등록일 10.09
-
등록일 10.09
-
등록일 10.08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