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W와우 분류
WoW TrinityCore 빌드 방법 2부.
컨텐츠 정보
- 225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해당자료 링크 : https://blog.naver.com/pyangjin/222476701664
TrinityCore 빌드 방법 2부.
앞에서 생성한
authserver.conf.disk
authserver.exe
worldserver.conf.disk
worldserver.exe
4개의 파일을 C 드라이브의 TrinityRepack 폴더에 복사.
복사후
authserver.conf.disk 파일을 authserver.conf 이름 변경.
worldserver.conf.disk 파일을 worldserver.conf 이름 변경.
다음은 C:\TrinityRepack 안에 logs, Mysqldb 폴더 추가로 생성.
- logs 폴더는 server 실행시 log 파일이 저장되는 장소
- Data 폴더는 클라이언트 에서 생성되는 map 데이터 저장 장소.
- Mysqldb 폴더는 Mysql 데이버베이스 저장될 장소.
C 드라이브의 Mysql 폴더 안에 있는 파일과 폴더전부을 Mysqldb로 복사.
다음 으로 필요한 파일.
libmysql.dll , libssl-1_1-x64.dll , libcrypto-1_1-x64.dll
세개의 파일 필요.
3개 파일 위치는
libmysql.dll -- C:\Mysql\lib 폴더안에
libssl-1_1-x64.dll -- C:\OpenSSL 폴더안에
libcrypto-1_1-x64.dll -- C:\OpenSSL 폴더안에 있음.
위 세개의 파일을 C:\TrinityRepack에 복사.
위 화면은 필요한 파일과 폴더.
다음은 Mysql 데이터베이스 설정.
먼저 명령프롬프트 CMD 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TrinityRepack -> Mysqldb -> bin 폴더로 이동
( C:\TrinityRepack\Mysqldb\bin )
위 화면과 같이 cmd 창에 명령어 실행
mysqld --install : mysql 서비스에 설치
Service successfully installed 메세지 출력.
mysqld --initialize : Mysqldbd안에 data 폴더가 생성 됨
data안에는 mysqld의 기본database 생성됨.
net start mysql : mysql 서비스 실행
MYSQL 서비스가 잘 시작되었습니다. 메세지 출력.
다음 명령어 실행 전에 위에서 생성된 data 폴더안에 컴퓨터이름.err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root@localhost: 검색
root@localhost: 뒤에 기호와 영문 조합으로 된 문자가 mysql 초기 암호임.
위에서 얻은 초기 암호로 위 화면과 같이 입력
mysql –u root -p
Enter password: ********** 초기암호 입력하여 mysql에 접속.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by '123456'; -> password 수정
(123456 부분에 비빌번호 입력 차후 수정 가능)
exit 로 mysqldb에서 접속 종료.
변경한 비밀번호로 다시 접속함.
mysql –u root –p 접속
enter password: 비밀번호 입력
mysql> show databases; 로 database 확인
exit 로 접속 종료.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mysql 의 기초작업 되었음.
명령 프롬프트 에서
net stop mysql : mysql 서비스에서 중지
mysqld --remove : 서비스에서 삭제
( mysql 서비스종료 )
* 참고 *
mysql 서비스시작 방법
명령 프롬프트 관리자로 실행
cd C:\TrinityRepack\Mysqldb\bin 리팩 mysqldb의 bin 폴더로이동
mysqld --install : mysql 서비스에 등록
net start mysql : mysql 서비스 시작
mysql 서비스종료 방법
명령 프롬프트 관리자로 실행
cd C:\TrinityRepack\Mysqldb\bin 리팩 mysqldb의 bin 폴더로이동
net stop mysql : mysql 서비스에서 중지
mysqld --remove : 서비스에서 삭제
Mysql 기초생성시 문제가 발생시 mysql 서비스종료후 Mysqldb폴더 안에 모든 파일 삭제
다시 C:\Mysql\ 폴더의 내용을 C:\TrinityRepack\Mysqldb 복사후 첨부터 mysql 작업 다시 진행하면 됨.
TrinityCore Databases 입력
실행하기 전에 앞에 mysql 서비가 시작이 되어 있으면
mysql 서비스 종료.
C:\TrinityRepack 리팩설치 폴더 안에 authserver.conf , worldserver.conf 수정 작업
- authserver.conf 수정부분
LogsDir = "./logs" ->logs 파일 저장위치.
SourceDirectory = "C:/TrinityCore" -> TrinityCore 소스 폴더위치
MySQLExecutable = "./Mysqldb/bin/mysql.exe" -> 리팩설치 폴더의 mysql 실행 파일위치
Login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auth" -> mysql의 DB 로그인관련 정보
( 주소;포트번호;사용자ID;암호;테이블명 )
Updates.EnableDatabases = 1 -> auth DB 을생성 하기위해 Enable을 1로 설정
-worldserver.conf 수정부분
DataDir = "./Data" -> 게임에서 map 추출한 폴더지정.
LogsDir = "./logs" -> log파일이 저장될 폴더지정.
Login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auth" -> mysql의 DB 로그인관련 정보.
World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world"
Character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characters"
BuildDirectory = " C:/TrinityBuild" -> TrinityCore 빌드 저장 폴더위치.
SourceDirectory = "C:/TrinityCore" -> TrinityCore 소스 폴더위치.
MySQLExecutable = "./Mysqldb/bin/mysql.exe" -> mysql실행파일위치.
RealmZone = 6 게임실행 지역 설정 한국
DBC.Locale = 1 언어 설정 한국어로 설정
Updates.EnableDatabases = 1 -> DB 을생성 하기위해 Enable을 1로 설정
.conf 파일이 위와 같이 수정 되어야 DB생성과 초기 값이 자동으로 입력이 됨.
mysql의 ini파일 샹성과 mysql 실행관련 배치 파일 만들기
my.ini파일생성
메모장을 열어 다음과 같이 입력.
[client]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d]
character-set-client-handshake=FALSE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SET NAMES utf8"
character-set-server = utf8
collation-server = utf8_general_ci
[mysqldump]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
default-character-set = utf8
입력후 파일이름을 my.ini 생성하여 TrinityRepack -> Mysqldb에 저장. ( C:\TrinityRepack\Mysqldb에 저장 )
mysqlStart.bat 파일생성
메모장을 열어 다음과 같이 입력.
@echo off
SET NAME=TrinityCore Database
TITLE %NAME%
COLOR 03
.\Mysqldb\bin\mysqld --defaults-file=.\Mysqldb\my.ini --log_syslog=0 --console --standalone
exit
.\Mysqldb\bin\mysqld -> 리팩설치 폴더의 mysqld 실행 파일위치.
.\Mysqldb\my.ini -> my.ini 파일 위치지정
입력후 파일이름을 mysqlStart.bat 생성하여 C:\TrinityRepack 리팩설치 폴더에 저장.
지금부터는 Mysql 실행시 mysqlStart.bat로 실행및 종료.
TrinityCore 의 최근에 업데이트된 DB파일 다운로드
사이트는 -> https://github.com/TrinityCore/TrinityCore/releases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파일 TDB_XXXXX.7z 파일을 다운로드후 압축 풀어 나온 TDB_XXXXX.sql
파일을 리팩이 설치된 폴더로 복사. C:\TrinityRepack
TrinityRepack폴더 화면
mysqlStart,bat 실행하여 mysql 서비스 시작.
위와 같이 빨간 박스안에 메시지와 같이 나오면 정상.
다음으로는 authserver.exe 파일 실행
위와 같이 [yes (default) / no] 가 나오면 yes 또는 y 타이피 엔터
(auth DB폴더 생성 처음 실행시 한번만 나옴)
다음과 같이 나오면 정상
다음으로는 worldserver.exe 파일 실행
characters Table 생성 yes
world Table 생성 yes
업데이트 DB 적용중
완료시 TC> 명령프롬프트가 나옴
이로서 리팩이 설치가 완료됨
중요사항 리팩을 종료후 다시 시작하여 계정생성과 와우 클라이언트로 접속이 가능함.
종료방법 순서는
1 worldserver 화면에서 Ctrl+c 키입력 종료.
2 authserver 화면에서 Ctrl+c 키입력 종료.
3 mysqlStart 화면에서 Ctrl+c 키입력 , 일괄 작업을 끝내시겠습니까 (Y/N)? 에서 y 입력
순서로 종료해야 메모리에 상주해 있는 최종 DB data 가 하드에 저장이됨.
시작 순서는
1 mysqlStart
2 authserver
3 worldserver
순서되로 해야 실행됨.
다음작업 리스트
- LUA 스크립트 모듈, NPCBOT 모듈 삽입
TrinityCore 빌드 방법 2부.
앞에서 생성한
authserver.conf.disk
authserver.exe
worldserver.conf.disk
worldserver.exe
4개의 파일을 C 드라이브의 TrinityRepack 폴더에 복사.
복사후
authserver.conf.disk 파일을 authserver.conf 이름 변경.
worldserver.conf.disk 파일을 worldserver.conf 이름 변경.
다음은 C:\TrinityRepack 안에 logs, Mysqldb 폴더 추가로 생성.
- logs 폴더는 server 실행시 log 파일이 저장되는 장소
- Data 폴더는 클라이언트 에서 생성되는 map 데이터 저장 장소.
- Mysqldb 폴더는 Mysql 데이버베이스 저장될 장소.
C 드라이브의 Mysql 폴더 안에 있는 파일과 폴더전부을 Mysqldb로 복사.
다음 으로 필요한 파일.
libmysql.dll , libssl-1_1-x64.dll , libcrypto-1_1-x64.dll
세개의 파일 필요.
3개 파일 위치는
libmysql.dll -- C:\Mysql\lib 폴더안에
libssl-1_1-x64.dll -- C:\OpenSSL 폴더안에
libcrypto-1_1-x64.dll -- C:\OpenSSL 폴더안에 있음.
위 세개의 파일을 C:\TrinityRepack에 복사.
위 화면은 필요한 파일과 폴더.
다음은 Mysql 데이터베이스 설정.
먼저 명령프롬프트 CMD 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TrinityRepack -> Mysqldb -> bin 폴더로 이동
( C:\TrinityRepack\Mysqldb\bin )
위 화면과 같이 cmd 창에 명령어 실행
mysqld --install : mysql 서비스에 설치
Service successfully installed 메세지 출력.
mysqld --initialize : Mysqldbd안에 data 폴더가 생성 됨
data안에는 mysqld의 기본database 생성됨.
net start mysql : mysql 서비스 실행
MYSQL 서비스가 잘 시작되었습니다. 메세지 출력.
다음 명령어 실행 전에 위에서 생성된 data 폴더안에 컴퓨터이름.err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root@localhost: 검색
root@localhost: 뒤에 기호와 영문 조합으로 된 문자가 mysql 초기 암호임.
위에서 얻은 초기 암호로 위 화면과 같이 입력
mysql –u root -p
Enter password: ********** 초기암호 입력하여 mysql에 접속.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by '123456'; -> password 수정
(123456 부분에 비빌번호 입력 차후 수정 가능)
exit 로 mysqldb에서 접속 종료.
변경한 비밀번호로 다시 접속함.
mysql –u root –p 접속
enter password: 비밀번호 입력
mysql> show databases; 로 database 확인
exit 로 접속 종료.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mysql 의 기초작업 되었음.
명령 프롬프트 에서
net stop mysql : mysql 서비스에서 중지
mysqld --remove : 서비스에서 삭제
( mysql 서비스종료 )
* 참고 *
mysql 서비스시작 방법
명령 프롬프트 관리자로 실행
cd C:\TrinityRepack\Mysqldb\bin 리팩 mysqldb의 bin 폴더로이동
mysqld --install : mysql 서비스에 등록
net start mysql : mysql 서비스 시작
mysql 서비스종료 방법
명령 프롬프트 관리자로 실행
cd C:\TrinityRepack\Mysqldb\bin 리팩 mysqldb의 bin 폴더로이동
net stop mysql : mysql 서비스에서 중지
mysqld --remove : 서비스에서 삭제
Mysql 기초생성시 문제가 발생시 mysql 서비스종료후 Mysqldb폴더 안에 모든 파일 삭제
다시 C:\Mysql\ 폴더의 내용을 C:\TrinityRepack\Mysqldb 복사후 첨부터 mysql 작업 다시 진행하면 됨.
TrinityCore Databases 입력
실행하기 전에 앞에 mysql 서비가 시작이 되어 있으면
mysql 서비스 종료.
C:\TrinityRepack 리팩설치 폴더 안에 authserver.conf , worldserver.conf 수정 작업
- authserver.conf 수정부분
LogsDir = "./logs" ->logs 파일 저장위치.
SourceDirectory = "C:/TrinityCore" -> TrinityCore 소스 폴더위치
MySQLExecutable = "./Mysqldb/bin/mysql.exe" -> 리팩설치 폴더의 mysql 실행 파일위치
Login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auth" -> mysql의 DB 로그인관련 정보
( 주소;포트번호;사용자ID;암호;테이블명 )
Updates.EnableDatabases = 1 -> auth DB 을생성 하기위해 Enable을 1로 설정
-worldserver.conf 수정부분
DataDir = "./Data" -> 게임에서 map 추출한 폴더지정.
LogsDir = "./logs" -> log파일이 저장될 폴더지정.
Login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auth" -> mysql의 DB 로그인관련 정보.
World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world"
CharacterDatabaseInfo = "127.0.0.1;3306;root;123456;characters"
BuildDirectory = " C:/TrinityBuild" -> TrinityCore 빌드 저장 폴더위치.
SourceDirectory = "C:/TrinityCore" -> TrinityCore 소스 폴더위치.
MySQLExecutable = "./Mysqldb/bin/mysql.exe" -> mysql실행파일위치.
RealmZone = 6 게임실행 지역 설정 한국
DBC.Locale = 1 언어 설정 한국어로 설정
Updates.EnableDatabases = 1 -> DB 을생성 하기위해 Enable을 1로 설정
.conf 파일이 위와 같이 수정 되어야 DB생성과 초기 값이 자동으로 입력이 됨.
mysql의 ini파일 샹성과 mysql 실행관련 배치 파일 만들기
my.ini파일생성
메모장을 열어 다음과 같이 입력.
[client]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d]
character-set-client-handshake=FALSE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SET NAMES utf8"
character-set-server = utf8
collation-server = utf8_general_ci
[mysqldump]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
default-character-set = utf8
입력후 파일이름을 my.ini 생성하여 TrinityRepack -> Mysqldb에 저장. ( C:\TrinityRepack\Mysqldb에 저장 )
mysqlStart.bat 파일생성
메모장을 열어 다음과 같이 입력.
@echo off
SET NAME=TrinityCore Database
TITLE %NAME%
COLOR 03
.\Mysqldb\bin\mysqld --defaults-file=.\Mysqldb\my.ini --log_syslog=0 --console --standalone
exit
.\Mysqldb\bin\mysqld -> 리팩설치 폴더의 mysqld 실행 파일위치.
.\Mysqldb\my.ini -> my.ini 파일 위치지정
입력후 파일이름을 mysqlStart.bat 생성하여 C:\TrinityRepack 리팩설치 폴더에 저장.
지금부터는 Mysql 실행시 mysqlStart.bat로 실행및 종료.
TrinityCore 의 최근에 업데이트된 DB파일 다운로드
사이트는 -> https://github.com/TrinityCore/TrinityCore/releases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파일 TDB_XXXXX.7z 파일을 다운로드후 압축 풀어 나온 TDB_XXXXX.sql
파일을 리팩이 설치된 폴더로 복사. C:\TrinityRepack
TrinityRepack폴더 화면
mysqlStart,bat 실행하여 mysql 서비스 시작.
위와 같이 빨간 박스안에 메시지와 같이 나오면 정상.
다음으로는 authserver.exe 파일 실행
위와 같이 [yes (default) / no] 가 나오면 yes 또는 y 타이피 엔터
(auth DB폴더 생성 처음 실행시 한번만 나옴)
다음과 같이 나오면 정상
다음으로는 worldserver.exe 파일 실행
characters Table 생성 yes
world Table 생성 yes
업데이트 DB 적용중
완료시 TC> 명령프롬프트가 나옴
이로서 리팩이 설치가 완료됨
중요사항 리팩을 종료후 다시 시작하여 계정생성과 와우 클라이언트로 접속이 가능함.
종료방법 순서는
1 worldserver 화면에서 Ctrl+c 키입력 종료.
2 authserver 화면에서 Ctrl+c 키입력 종료.
3 mysqlStart 화면에서 Ctrl+c 키입력 , 일괄 작업을 끝내시겠습니까 (Y/N)? 에서 y 입력
순서로 종료해야 메모리에 상주해 있는 최종 DB data 가 하드에 저장이됨.
시작 순서는
1 mysqlStart
2 authserver
3 worldserver
순서되로 해야 실행됨.
다음작업 리스트
- LUA 스크립트 모듈, NPCBOT 모듈 삽입
-
등록일 10.05
-
등록일 10.05
-
등록일 10.05
-
등록일 10.04
관련자료
-
링크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